티스토리 뷰

728x90
반응형

{본문의 작성 기준}

제목 :

[케이스일자] 케이스이름 및 제목(약어) -  for  ~

내용 :

[작성의 이유 및 참고사항]

[공식 및 참고 사이트]

[방법 및 설명 가이드]

[한줄평]


[작성의 이유 및 참고사항]

- 작성이유

AWS Console를 쓰다가 CLI도 해야지 하고 또한 중요한 공유의 맛.

 

- 참고사항

해당 필자의 실행결과 말고 글아래는 기본적인 제조사의 공식제공링크도 참고하세요.

저희는 항상 환경에 따라서 잘 해내야 하니까요. 저의 실행환경정보와 실행기록을 남기니 참고해 주세요.

그 외의 상황에서는 직접 해보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.

 

※ 모든 포스팅 글은 작성자의 개인환경에서의 실 적용을 토대로 작성되어 있으니 참고하여 활용해 주시고 책임이라고 할 순 없지만 본인의 자유임으로 참고만 해주세요.


[공식 및 참고 사이트]

AWS CLI : https://aws.amazon.com/ko/cli/

 

Command Line Interface - AWS CLI - AWS

aws-shell은 명령줄 셸 프로그램으로서, AWS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새로운 사용자와 고급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편의 기능 및 생산성 기능을 제공합니다.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

aws.amazon.com

CLI2 : https://awscli.amazonaws.com/v2/documentation/api/latest/reference/index.html

 

aws — AWS CLI 2.9.21 Command Reference

Synopsis aws [options] [parameters] Use aws command help for information on a specific command. Use aws help topics to view a list of available help topics. The synopsis for each command shows its parameters and their usage. Optional parameters are shown i

awscli.amazonaws.com


[방법 및 설명 가이드]

- 기본설명

AWS CLI?

쉽게 알 수있듯이 Command Line Interface(CLI) AWS를 보통 console에서 작업하지만 터미널환경에서 커맨드로 AWS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구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~

필자는 Windows 환경으로 AWS에서는 CLI의 tool을 제공하네요~ 많은 리소스를 만들 때 예전처럼 쉘스크립트 돌리듯이요~

 

- 환경정보

OS :

Windows 11의 버전 (win11 pro 버전 22H2 빌드 22621.1194)

Win+r = 실행창에서 'winver' 결과

리소스 : 

작업 노트북

CPU : 12th Gen Intel(R) Core(TM) i5-1235U   1.30 GHz

MEM : 32G

 

AWS 리소스 : 

개인 계정에서 진행 비용없는 것으로 프리티어 만료된 계정으로 진행함.

과정에서 비용이 청구될 내용은 없음으로 ㅎㅎ

 

※ 위의 환경에서 실제 구현된 정보임으로 그 외의 환경에서는 다를 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- 설치 방법 (명령어로 쉽게~)* 적용 후 재부팅 필~

1. AWS CLI 다운로드 - Windows 64bit용

https://aws.amazon.com/ko/cli/ 에 접속한다.

초록 네모칸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Windows환경이니까~

AWSCLIV2.msi   <<  왼쪽의 이름으로 된 파일이 다운로드 된다.

 

2. 다운로드 받은 파일 설치

실행 할때 딱히 변경할 것 없이 동의하고 설치 기본으로 진행 완료. 좀 걸리네요 ㅡㅡ 후딱 안되고

3. 확인

윈도우 키 + x  한 뒤  i  눌러서  터미널 접속

아래의 명령어로 명령어의 동작을 확인한다.

## aws cli version 확인
aws --version

정상 확인

- AWS CLI 등록 (인증)

1. 인증 정보 준비 - IAM 사용자 생성 - * 단일 계정 시

본인의 AWS 계정에서 발급한 IAM 사용자의 AWS Access Key ID AWS Secret Access Key 준비

필자는 계정을 새로 만들어서 준비함. 기존 있는 분은 중간부터 보시면 돼요~

IAM 이동하여 좌측 액세스 관리 -> 사용자 

사용자 추가~
사용자 이름 넣고 다음~
저는 연결의 테스트를 보여주기 위함으로 권한설정은 별도로 안했으나 해줘야줘~ 안그러면 권한에러 볼것임~ ㅎㅎ
사용자 생성~
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생성~

2. 인증 정보 준비 - AWS Access Key ID & AWS Secret Access Key  획득하기

생성된 user1 선택 -> 보안 자격 증명 탭 선택 -> 액세스키 만들기 

이제 드디어 액세스 키 만들기!
CLI에 대한 키에 대한 생성 선택하고 다음~
액세스 키 만들기~
액세스 키와 비밀 액세스 키(표시 눌러서 확인) 복사~~ 좌측 아래의 .csv로도 보관가능 근데 그때그때 다시 만드는게 나을 것 같은 느낌 ㅎㅎ 완료~
앞에서 혹시나 비밀 액세스 키 안보고 .csv로 저장도 안하면 이런 그림을 보게됨~ ㅎㅎ 전 모르고 계속 누르고 비밀액세스키 확인안되서 다시 만들었다능;;;
완료 드디어 액세스키와 시크릿키를 획득하였으니 AWS CLI로 환경설정 ㄱㄱ

 

3. AWS CLI 환경구성

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친다.

## 구성 설정 지정
aws configure

필자는 아래 리전은 아시아 태평양 서울(ap-northeast-2)으로 하고 기본 출력 포맷은 yaml로 ㅎㅎ k8s에  적응되서..

설정하고

설정파일 기본경로 :

C:\Users\ [이름] \.aws

 

설정한 정보는 파일로 저장됨.

인증정보 재확인

## 설정한 인증정보 확인
aws configure list

설정 재확인

이후부터는 계정에 권한도 할당하고 ec2등 만들고 지우고 ㄱㄱ 꼭 해보세요~

명령어는 공식 사이트 참고 솔직히 aws help 치면 우르르~


[한줄평]

CLI 연동은 그래도 깔끔하나 앞으로 보게 될 권한에 대한 메시지는......

 

 

728x90
반응형
Comments